참여마당

제목 23.6.19정신건강의학과 약을 먹으면 중독되나요?(동국의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의학박사)
작성자 위드유 등록일 07.05
조회 345
일반인이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중독(中毒)이라는 의미는 무엇일까 평소 정신적으로 신체적으로 건강하고 정상적인 생활을 하던 사람이 알코올이나 마약으로 인해 건강을 잃고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는 사회적 폐인(廢人)이 되는 상태를 말할 것이다.

그러나 당뇨병 환자나 고혈압 환자가 약을 복용함으로써 혈당과 혈압이 조절되어 정상화되고 생활을 잘할 수 있다면 치료되고 있다고 해야 할 일이지 결코 중독되었다고 말할 수 없다. 또 약을 갑자기 중단하면 다시 혈당이 올라가고 혈압이 올라간다고 해서 그것이 약에 중독됐다고 할 수 없다.

공황장애 환자나 우울장애 환자가 그에 맞는 정신건강의학과 약을 복용함으로써 평안을 찾고 부정적 관점에서 벗어나고 자살로부터 자신의 가치와 생명을 지켜내고 행복을 찾는다면, 치료되고 있다고 해야 할 일이지 결코 중독되었다고 말할 수 없다. 약을 갑자기 중단하면 다시 공황 증상이 나타나고 우울 증상이 나타난다고 해서 그것이 약에 중독됐다고 할 수 없다.

알코올이나 마약이 뇌를 손상하는 것과는 달리 현재 사용되는 항공황제제, 항우울제제는 오히려 뇌신경 세포의 신생을 돕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사람들은 “약으로 어떻게 당뇨 또는 고혈압을 치료하느냐”, “당뇨나 고혈압은 의지나 정신력으로만 고쳐야지”라고 말하지 않으면서 정신건강의학과 질환에 대해서만 달리 생각하는 태도는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인 나로서는 몹시 안타깝다.

당뇨병과 고혈압은 하나의 신체 질환이다. 공황장애와 우울장애 등 정신건강의학과 질환도 하나의 뇌의 질환이다. 뇌도 신체 일부이다. 지금 공황장애, 우울장애뿐만 아니라 많은 정신과적 질환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정신건강의학과 약이 중독된다는 편견으로 인한 불충분한 치료(under treatment)이다.

왜 사람들은 정신건강의학과 약을 먹으면 중독된다고 생각할까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약물치료를 하면 약물중독이 되어 약을 끊지 못하고 평생 먹어야 한다는 두려움의 표현일 수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처방하는 약물치료로 인해 중독되어 약을 끊지 못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당뇨병이나 고혈압 환자분은 오랜 기간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 몸에서 혈당, 혈압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기능이 저하돼 약물을 통해서 도움을 받는다. 그래야 합병증을 예방하고 건강수명을 늘일 수 있다. 정신건강의학과 질환들은 우리 뇌에서 불안, 우울 등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기능이 저하돼 약물을 통해서 도움을 받는다.

또 정신건강의학과 질환들은 당뇨병이나 고혈압과 비교한다면 완치돼 약을 끊을 확률이 훨씬 더 높다. 다만,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계 약물들은 약리학적으로 내성과 신체적 의존성이 있을 수 있어 약물 사용에 유의할 필요가 있으나, 올바른 처방 가이드라인을 지킨다면 문제되지 않는다.


세계 최고 권위의 임상의학 학술지인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는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임상에서 그 효과를 얻기 위해 약을 계속 늘려가야만 하는 내성의 증거가 없다”고 했다. 또 미국정신건강의학과학회 특별위원회의 보고서에는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이 올바른 처방 가이드라인이 지켜졌을 때 중독되는 약이 아니다”라고 결론지었다.

결국,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약물치료를 받는 경우 약물중독에 대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가끔 공황장애 환자와 우울장애 환자의 적절하고 충분한 치료를 도와야 할 가족과 지인이 “정신건강의학과 약은 중독이 되어 약을 끊을 수 없다” 라는 등의 무책임한 말들로 환자들에게 큰 피해를 주는 경우가 있다. 특히, 공황장애 환자의 심리는 기본적으로 불안하고 우울장애 환자의 심리는 기본적으로 부정적인 관점에서 보기 때문에 정신건강의학과 약에 대해 겁이 나는 말을 들으면 치료를 시작하지 않거나 먹던 약도 복용을 중단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별생각 없이 뱉은 무책임한 말들은 비록 의도하지는 않았다 하더라도 환자들이 치료받을 수 있는 기회를 막거나 재발하게 하는 결과적으로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는 대단히 위험한 행위이다.

정신과적 질환의 치료를 신체 다른 부위의 질환에 대한 치료와 동일선상에서 생각해주면 좋겠다.

정신과적 질환이 다른 신체적 질환과 다르다는 편견(偏見), 정신과적 약물치료가 다른 신체적 질환의 약물치료와 다르다는 편견이 치료를 어렵게 한다. 정신건강의학과의 질환들은 당뇨병, 고혈압 등 다른 신체 질환과 마찬가지로 치료할 수 있고 치료해야 하는 질환이다.

오늘 필자가 드리고 싶은 말은 ‘정신건강의학과 약이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다는 말이 아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약만을 맹신하는 것도 문제이지만, 정신건강의학과 약에 대한 편견으로 인한 지나친 거부감도 문제이다. 정신건강의학과 약을 편견(偏見)으로 보지 말고 정견(正見)으로 보자”는 것이다.



출처 : 경북매일(http://www.kbmaeil.com)
이전글  : 23.08.14 정신질환자 사법입원제, 국민안심입원제도로 바꾸자
다음글  : 23.06.14 정신과 진료 기피 원인 ‘정신질환자 취업제한 법령’...

조회

총게시물 : 23 건 [1/3 Page]